※ 이 글은 도서<메타버스> '메타버스가 낙원은 아니다' 책터의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메타버스의 거대한 손
아마존이 진짜 무서운 이유는 무엇일까?
구글이 개인과 기업들에게 자신들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메타버스와 관련하여 주목해야 할 기업에 대해 살펴보자
아마존 웹서비스(AWS, Amazon Web Service)
아마존이 진짜 무서운 이유
아마존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건 유통, amazon.com 쇼핑몰이다.
아마존은 올라인 쇼핑몰 , 오프라인 매장 판매, 아마존 프라임, 아마존 웹서비스(AWS, Amazon Web Service)등의 사업역역을 갖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아마존 웹서비스(AWS, Amazon Web Service)이다.
AWS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해당한다.
혹시 네이버 클라우드나 구글 드라이브를 쓰고 있다면, 그런 서비스를 큰 기업이 쓰도록 만든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기업들은 라이프로깅, 거울 세계, 가상 세계 등의 메타버스를 운영하기 위해 용량이 아주 큰 저장 장치, 처리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인 서버급 컴퓨터, 안정적인 네트워크 등이 필요하다. 이런 것들을 기업을 대상으로 빌려주는 아마존의 서비스가 AWS라고 생각함ㄴ 된다.
AWS의 고객은 넷플릭스, 트위치, 링크드인, 페이스북 등의 글로벌 기업들이 있다.
넷플릭스는 각종 영화, 드라마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고아는 기업이다.
트위치는 게임 중심의 동영상 방송 플랫폼이다.
링크드인은 비즈니스에 특화된 소셜미디어 서비스이다.
이런 규모가 큰 글로벌 기업들도 요즘에는 직접 서버, 저장 장치,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운영하기보다는 AWS를 사용하고 있다.
국내 빅히트엔터네인먼트의 위버스도 AWS를 사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힘입어 AWS는 아마존 매출의 13%를 차지하고, 영업이익의 66%를 차지했다.
아마존의 이익을 지탱하는 핵심은 AWS이다.
문론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아마존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시장 점유율을 보자면 아마존 32.7%, ㅁ이크로소프트 14.2%, 구글 4.2%, 알리바바 4.1% 순이다.
메타버스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서버, 저장 장치, 네트워크가 필수이다. 이런 요소들은 현실 세계로 보자면 도로, 전기, 수도, 통신 등 사회간접자본에 해당한다.
앞으로 생길 여러 메타버스들도 AWS에 많이 의존할 것이며, 메타버스 속 사회간접자본은 아마존이 취고 있다고 보면 된다.
구글 지도
메타버스와 관련하여 구글에서 주목한 점은 거울 세계 메타버스의 핵심 자원 중 하나인 현실 세계를 최대한 정밀하게 복사해낸 지도 정보이다
구글은 여러 국가의 기업, 기관이 운영하는 거울 세계 메타버스에서 사용되는 지도 정보를 가장 많이 공급하고 있다.
지도 정보를 공급하면서, 각각의 거울 세계 안에서 어떤 일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세밀하게 관찰하여 기록하고 있다.
구글이 지도를 제공하고, 그 지도를 여러 기업과 기관이 가져가서 거울 세계를 만들었으며, 그런 거울 세계에서 살아가는 수많은 이들의활동 정보를 구글이 지도를 통해 다시 가져가는 구조다.
게임 기업들.
메타버스에서 주목해야 할 기업 중 하나가 게임 기업들이다.
메타버스 중 특히 증강 현실 세계와 가상셰계를 시각적으로 실재감 잇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게임회사가 각고 있는 시각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게임에서 사용되는 3D 그래픽 엔진시장의 절대 강자인 우니티 테크놀러지(유니티 엔진)와 에픽게임즈(언리얼엔진)이 주목할 만하다.
'생각의 쓰임 > 영감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절효과(frustratione effect) (0) | 2021.10.24 |
---|---|
나의 능력치가 수치화되어 공개된다면? (0) | 2021.10.21 |
세계인의 운동 기록을 삼킨 나이키 메타버스 (0) | 2021.10.19 |
흥한 페이스북과 망한 싸이월드, 그 차이는? (0) | 2021.10.18 |
메타버스...증강현실 적용 사례 (0) | 2021.10.16 |